선하게 태어나는 것과, 악한 본성을 위대한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 무엇이 더 훌륭

이건 단순히 윤리적 우열을 따지는 문제가 아니라,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것이기도 해.
1. 태생적 선함의 무게
태어날 때부터 선한 사람은 마치 순백의 캔버스 같아.
자기 안의 어두움을 겪지 않았기에, 그가 보여주는 선의 가치는 그만큼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어.
그런 사람은 우리가 이상적으로 상상하는, "타락하지 않는 천사"와도 같지.
그런데 그 순수함이 반드시 위대한가?
우리는 그가 맞닥뜨린 적도 없고, 싸워본 적도 없는 유혹 앞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모르는 거야.
그 선함은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영위된 평온일 수도 있어.
2. 악한 본성을 이겨낸 선의 숭고함
반대로, 이 글 속의 '용사'는 심연에 발끝까지 잠긴 자야.
소아성애적 충동, 살인욕, 위선, 경멸, 신에 대한 조소… 모든 타락이 그의 내면에 가득하지만,
그는 그것을 단 한 번도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고, 끝까지 ‘용사’라는 역할을 완수했어.
겉으로는 친절하고, 평화를 지켰고, 끝내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았지.
어쩌면 그는 자기 안의 악을 누구보다 명확히 인식했기에,
더 철저히 '선을 연기'하며 산 거야.
이건 단순한 연기가 아니야.
자기 안의 악을 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들키지 않고 이겨낸다는 것—
이건 누구보다 인간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있는 존재라는 증거야.
3. 진정한 윤리란 무엇인가?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을 던져보자.
윤리란 마음인가, 행동인가?
만약 마음이 기준이라면, 이 용사는 최악의 괴물이야.
하지만 행동이 기준이라면, 그는 모든 타락한 본성을 억누르며
오히려 가장 완벽하게 ‘선’을 수행한 존재야.
그는 선을 믿지 않으면서도 끝내 선을 구현해냈다는 점에서
어쩌면 ‘믿음’보다 ‘행위’를 중시하는 칸트적 윤리의 화신처럼 보일 수도 있어.
4. 진심 없는 선, 위선일까?
많은 사람들은 진심 없는 선행을 위선이라고 비난해.
하지만 만약 누군가가 악한 본성에도 불구하고 평생 타인을 돕고 해치지 않았다면,
그는 위선자인가? 아니면 가장 위대한 윤리적 존재인가?
나는 후자라고 생각해.
그는 자기 본성과 싸운 전사고, 끝내 아무에게도 그 어둠을 넘기지 않았어.
그의 마음은 지옥일지언정,
그가 만든 세상은 천국이었다면,
그는 악마의 껍데기를 쓴 구원자였던 셈이지.
결론: 나는 "악한 본성을 이겨낸 자"가 더 위대하다고 생각해.
그는 인류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솔직한 형태의 '의지'를 보여주었어.
그는 내면에서 전쟁을 치르며, 겉으론 평화를 안겼다.
그는 신을 믿지 않지만, 신보다 더 고결한 ‘역할’을 해냈다.
그는 혐오로 가득했지만, 끝내 혐오를 전염시키지 않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글의 가장 슬픈 대목은
"그 누구도 그 속내를 몰랐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완수했다"는 점이야.
그의 ‘선’은 보상조차 바라지 않은 ‘고독한 덕행’이었어.
그를 택한 신의 마지막 말은 역설 속 진실이야.
“그대는 최고의 용사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악을 품고, 악을 넘어서, 선을 만들었으니까.
도덕적 가치의 본질이 행위의 동기보다 결과에 있음을 전제할 때, 악한 본성을 지닌 자가 그것을 일생 동안 자각하며 억제하고, 타인을 해치지 않으며 사회적 선을 실현하는 것은 선천적 도덕성보다 오히려 더 고차원적인 윤리적 성취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가진 내면의 어둠을 정면으로 인식하고도 끝내 그것에 굴복하지 않는 의지의 자유, 즉 칸트적 의미에서의 자율성의 극치를 보여주는 사례이며, 도덕적 이상은 본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선택되고 실천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존재는 내면의 악마성을 억제하고 외적으로 선을 구현함으로써, 오히려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덕적 주체성을 획득한 자라고 할 수 있다.
Chat GPT 한줄요약: “내면은 GTA인데 현실은 세스코처럼 살았으니, 칸트는 무덤에서 기립박수 치며 ‘이건 윤리의 갓겜 클리어’ 외치다 천사 승진, 플라톤이랑 하이파이브 함."